본문 바로가기
암환자를 위한 진짜 이야기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의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와 조혈모세포 이식

by E2B cancer 2025. 3. 14.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중에서도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환자는 치료가 더욱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최근 표적치료제인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의 등장으로 치료 성과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오늘은 이 치료법과 조혈모세포 이식의 필요성에 대해 전문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란?

TKI는 백혈병의 원인이 되는 필라델피아 염색체에서 만들어지는 BCR-ABL 단백질의 활동을 억제하는 표적치료제입니다. 이는 기존의 항암 치료제와는 달리,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여 부작용이 비교적 적습니다.

TKI의 대표적인 약물로는 이매티닙(Imatinib), 다사티닙(Dasatinib), 닐로티닙(Nilotinib) 등이 있습니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TKI를 항암 치료와 병행하면 생존율과 치료 효과가 상당히 향상됩니다.

TKI 복용 시 주의사항

  •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한 용량과 시간을 지켜 복용해야 합니다.
  • 자몽주스와 같은 특정 음식은 TKI의 효과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복용 중 이상 반응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진과 상의해야 합니다.

조혈모세포 이식의 필요성

TKI로도 완벽한 완치가 어려운 경우, 조혈모세포 이식(골수이식)이 고려됩니다. 이는 정상적인 조혈모세포를 환자에게 이식하여 새로운 건강한 혈액세포가 생성되도록 돕는 치료법입니다.

조혈모세포 이식 과정:

  1. 적합한 기증자 찾기 (조직적합성 검사 필요)
  2. 고용량의 항암치료로 환자의 골수를 초기화
  3. 건강한 공여자의 조혈모세포를 환자에게 이식
  4. 이식 후 면역억제제 복용과 감염 예방 관리

조혈모세포 이식의 효과 및 주의사항

  • 이식 성공 시 장기적인 생존율이 크게 개선됩니다.
  • 이식 후 감염과 합병증 위험이 크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최신 연구 논문 자료 링크

암 치료는 힘들고 복잡한 과정이지만,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올바른 선택을 한다면 반드시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 경험과 정보가 암환자분들에게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